본문 바로가기
세무관련 지식

복리후생비,복식부기에 대해 잘 모르시나요? 그렇다면 이 글을 놓치지 마세요!

by 최상급 정보 콜렉터 2023. 6. 1.

복리후생비-복식부기

 

■ 복리후생비(fringe benefit)

더보기

"종업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복리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법인이 부담하는 시설이나 일반관리비, 제조경비를 말한다. 이 중에서 종업원의 건강  과  휴양, 오락을 위한 체육관, 운동장, 오락시설, 휴게실, 기숙사, 진료시설 등의 설치·건설  비는 복리시설비로 별도 구분하여 자산으로 취급하게 된다.  세법에서는 기업이 종업원을 위하여 지출하는 복리후생비는 기업회계에서와 마찬가지로  손  비(損費)로 인정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그것이 급여(給與)와는  구분되어야 하며 사회통념상   타당성이 있어야 한다. 법인세법에서는 법인이 임원 또는 사용인을 위하여 직장체육비, 직장  연예비, 우리사주조합의 운영비, 국민건강보험료,  직장보육시설의 운영비, 고용보험료  등을   지출한 경우 이를 손금으로 인정하고 있다. 또한 내국법인이 당해 법인의 임원(출자임원 포  함) 기타 사용인에게 지급한 경조비 등 사회통념상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범위 안의 금액에   대하여는 지급받은 임원, 기타 사용인에 대한 복리후생비로 보아  이를 당해 사업연도의 소  득금액 계산에 있어서 손금에 산입할 수 있다. 소득세법에서도  이들 비용을 사업소득의 필  요경비로 규정하고 있다.  [참조조문]법령 45, 소령 55"

 

 

 

■ 복식부기(bookkeeping by double entry)

더보기

"기업의  자산과 자본의 증감  및 변화하는   과정과 그 결과를 계정과목을 통하여  대변과 차변으로 구분하여 이중기록·계산이  되도록    하는 부기형식을 말하는 것으로  단식부기(單式簿記)와 상대되는 개념이다.  복식부기는 거래의 이중성 또는 대칭관계를 전제로 하였고, 한 거래를 계정기입법칙(計定記  入法則)에 의거하여 대차 양변에 동시에 기입함으로써 대차변의 각 합계가 일치되어 대차평  균(貸借平均)의 원리가 성립되며, 이 원리에 의하여 복식부기가 자기통제기능 또는 자동검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