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무관련 지식722

매도가능금융자산,매도가능증권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나요? 무엇인지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매도가능금융자산(available for sale financial assets) 더보기 매도가능항목으로 지 정한 비파생금융자산 또는 다음으로 분류되지 않는 비파생금융자산을 말한다. ① 대여금 및 수취채권 ② 만기보유금융자산 ③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참조조문]K-IFRS 1039호 9 ■ 매도가능증권(available-for-sale) 더보기 "유가증권의 분류 중 하나로서 단기매매증권, 만기보유증권, 지분법적용투자주식으로 분류되지 않는 그밖의 모든 유가증권을 말한다. 즉 지분법적용투자주식 또는 단기매매증권이 아닌 주식이나 만기보유증권 또는 단기매매증권이 아닌 채권을 말하며, 재무상태표일로부터 1년 내에 만기가 도래하거나 매도 등에 의하여 처분할 것이 거의 확실한 경우(유동자산으로 분류)를 제외하고는 .. 2023. 5. 25.
매각,매각예정가격 뜻과 정의, 당신이 알아야 할 진짜 의미를 알려드립니다. ■ 매각("disposal, sale") 더보기 "일반적으로 매각이란 물건을 팔아버리는 것을 말하나, 세법상 매 각이란 국세채권에 충당하기 위하여 압류 또는 담보로 제공받은 물건 또는 재산을 금전으 로 환가하는 처분(處分)을 말한다. 매각처분은 체납자의 의사에 의하지 아니하고 강제적으로 그 권리의 이전을 생기게 하나, 매수인이 권리를 취득하는 관계는 사법상(私法上)의 매매와 유사하므로 승계취득(承繼取得)이 된다. 매각처분은 압류재산 또는 담보제공재산의 처분권의 행사로서 매각하는 체납처분절차상의 일환인 공법상의 행정처분(行政處分)이다. 매각방법은 공매와 수의계약이 있으며 공매는 다 시 입찰과 경매로 나누어진다. [참조조문]징법 61~79" ■ 매각예정가격("estimated price of sale, pr.. 2023. 5. 24.
만기보유금융자산,만기보유증권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나요? 무엇인지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만기보유금융자산(held to maturity investments) 더보기 "만기가 고정되었고 지급 금액이 확정되었거나 결정가능한 비파생금융자산으로서 만기까지 보유할 적극적인 의도와 능력이 있는 경우의 금융자산(기업회계기준서 제1039호 ‘금융상품:인식과 측정’의 부록 A의 문단 AG16~AG25 참조)이다. 다만, 다음의 경우는 제외한다. ⑴ 금융자산의 최초 인식시점에 당기손익인식 항목으로 지정한 경우⑵ 금융자산을 매도가능 금융자산으로 지정한 경우 ⑶ 금융자산이 대여금 및 수취채권의 정의를 충족하는 경우[참조조문]K-IFRS 1039호 9" ■ 만기보유증권(held-to-maturity) 더보기 유가증권의 분류 중 하나로서 만기가 확정 된 채무증권으로 상환금액이 확정되거나 확정이 가능하며 만기까지.. 2023. 5. 24.
리스,리스기간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나요? 무엇인지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리스(lease) 더보기 "리스제공자가 특정자산의 사용권을 합의된 기간 동안 리스이용자에게 이전하고 리스이용자는 그 대가로 사용료를 리스제공자에게 지급하는 계약을 말한다. 리스의 정 의는 포괄적인 것으로 여신전문금융업법상 시설대여거래뿐 아니라 이와 유사한 렌탈거래 및 임대차거래도 모두 포함한다. 리스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효익이 리스이용자에게 이전되는 정도에 따라 금융리스와 운용리스로 분류한다. 여기에서 위험이라 함은 자산의 운휴, 기술적 진부화로 인한 손실 및 경제여건의 변화에 따른 이익변동의 가능성을 포함한 다. 그리고 효익이라 함은 자산을 내용연수 동안 운용하여 발생하는 수익이나 가치증대 또 는 잔존가치의 실현에서 발생하는 이익 등에 대한 기대치를 말한다. 기업회계기준에서 는 실질우선원칙(s.. 2023. 5.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