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입신고 후 세대주가 제대로 맞게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과거와 다르게 이제는 인터넷으로도 쉽게 전입신고할 수 있으며 세대주 확인도 인터넷으로 편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끝까지 읽으시면 세대주를 확인하는 방법(온라인, 오프라인)에 대해 정확히 아실 수 있습니다.
1. 온라인에서 세대주 확인하는 방법 (정부24)
정부 24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세대주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해당 방법은 온라인에서 전입신고했을 경우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니 참고해서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1-1. 정부 24 홈페이지로 이동 후 검색창에 세대주 확인을 입력 후 검색해줍니다.
1-2. 메뉴 검색에 '세대주 확인' 바로가기가 나오는데 이걸 클릭해줍니다.
1-3. 세대주 확인을 위해 본인인증을 합니다. 간편 인증을 통해 카카오톡으로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
1-4. 본인이 온라인으로 신청한 날짜(기간)를 입력한 후 세대주를 확인하면 됩니다.
최근에 전입신고를 하지 않은 사람은 위 이미지처럼 확인 목록이 없다고 뜹니다. 또, 온라인에서 신청하지 않은 사람일 경우도 확인 결과가 뜨지 않을 수 있으니 온라인으로 신청했는지 먼저 확인하셔야 합니다.
세대주의 확인이 필요한 경우는, 본인이 다른 세대로 편입했거나 세대를 합가 했을 경우 해당 주소지 세대주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2. 오프라인에서 세대주 확인하는 방법
온라인이 불편하신 분들은 오프라인에서 세대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에서 세대주를 확인하는 방법은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때, 본인의 신분을 확인하기 위해 신분증은 반드시 지참하시고 가셔야 합니다. 오프라인에서 확인하는 장점은 본인이 직접 확인하려면 약간 헷갈리는 부분도 있고 잘 모르는 부분은 넘어갈 수 있는데, 주민센터에 직접 가셔서 처리하면 몰랐던 정보까지 공무원이 꼼꼼히 처리해주기 때문에 온라인이 익숙지 않으신 분들은 오프라인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온라인(민원 24)과 오프라인에서 세대주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집 계약을 하셨다면 반드시 세대주 or 세대원을 확인하셔야 다른 사람이 몰래 내가 속해있는 곳에 등재하는 불미스러운 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꿀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약 랜섬웨어 탐지오류와 PC먹통, 발생한 증상 및 대처법 정리 (0) | 2022.09.02 |
---|---|
'트래블룰' 의미와 적용 거래소 및 규제내용 총정리! (0) | 2022.08.29 |
손가락 간지러움 대처법! 처방받은 약, 연고 후기 (0) | 2022.08.17 |
운전면허증 재발급 준비물, 신청방법 3가지 알아보기! (0) | 2022.08.16 |
조기폐차 지원금 조회, 대상, 신청방법, 지원금 총정리! (0) | 2022.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