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를 거래하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은 마주해보았을 단어 '트래블 룰'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트래블 룰은 특정 금액 이상 다른 거래소로 암호화폐를 옮길 경우 신원인증을 하는 것이라고 보면 간단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트래블 룰의 의미 그리고 적용되는 대상 거래소와 규제내용에 대해 총 정리해보겠습니다.
'트래블룰' 이란?
'트래블룰(Travel Rule)'
트래블룰은 가상자산 거래의 투명성을 높이고 가상자산의 불법행위에 대응하기 위해 생긴 가상자산 관련 규제입니다.
트래블 룰이 적용되면 가상자산 사업자는 가상자산(암호화폐)을 100만 원 이상 전송하는 인원에 대한 신원정보를 기록해두어야 합니다. 또, 암호화폐를 거래하는 인원 중 수상한 거래, 자금세탁이 의심될 경우 금융정보 분석원에 보고 해야 합니다.
즉, 트래블 룰이 생기기 전에는 별다른 규제 없이 100만 원, 1000만원, 1억원이 넘는 금액도 암호화폐 거래소로 전송하여도 인원에 대한 점검없이 현금화 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100만원 이상 거래소에 입금 시 누가 어떤 경로로 입금했는지 점검을 하는 것이 바로 트래블 룰인 것입니다. 한 마디로 자금세탁 방지용 규제입니다.
'트래블룰' 적용 거래소?
- 국내에 있는 거의 모든 암호화폐 거래소는 트래블룰 적용대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현재 국내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암호화폐 거래소는 Upbit, 빗썸, 코인원 , 코빗 등이 있습니다. 이런 메이저 거래소들은 모두 트래블 룰이 적용되어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국내에 있는 거래소만 사실상 트래블룰이 존재하며 다른 해외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는 트래블룰을 적용하고 있지 않습니다.(예: Binance)
따라서, 암호화폐 투자 및 선물거래를 하시는 분들은 애초에 국내 거래소의 비중을 줄이고 해외 거래소에서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습니다.
'트래블룰' 규제내용
- 100만 원 이상 코인을 타 거래소 또는 출금할 경우 -> 본인 명의 계정이 맞는지 확인 후 출금 가능
- 100만 원 이상 코인을 국내로 입금할 경우 -> 트래블 룰 설루션 연동 거래소에서 입금 된 경우 추가 확인 필요 X
- 100만 원 미만 거래 시 -> 트래블 룰 적용대상 아님 -> 이전처럼 자유롭게 전송 가능
- 개인 지갑 입, 출금 -> 미리 거래소와 등록된 지갑은 자유로운 입출금 가능 (업비트 기준)
100만 원 미만은 자유롭게 전송이 가능하지만, 100만원 이상일 경우 본인인증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면 쉬울 것 같습니다.
'꿀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VPN 뜻과 사용하는 이유, VPN 프로그램 추천 한 번에 총 정리! (0) | 2022.09.03 |
---|---|
알약 랜섬웨어 탐지오류와 PC먹통, 발생한 증상 및 대처법 정리 (0) | 2022.09.02 |
세대주 간단하게 확인하는 방법 ! (정부 24 활용) (1) | 2022.08.22 |
손가락 간지러움 대처법! 처방받은 약, 연고 후기 (0) | 2022.08.17 |
운전면허증 재발급 준비물, 신청방법 3가지 알아보기! (0) | 2022.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