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꿀팁+정보

알약 랜섬웨어 탐지오류와 PC먹통, 발생한 증상 및 대처법 정리

by 최상급 정보 콜렉터 2022. 9. 2.

알약 랜섬웨어 탐지 오류로 인해 알약 개인 사용자들에게 난리가 났었습니다. 22년 8월 30일 발생한 알약의 랜섬웨어 탐지 오류와 그로 인해 발생한 PC 먹통 증상 그리고 저에게도 발생한 증상과 대처 방법에 대해 정리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알약, 랜섬웨어 탐지 오류

 

알약, 랜섬웨어 탐지

22년 8월 30일 오후 2시경 컴퓨터를 하는 도중 알약에서 랜섬웨어 공격이 탐지되었다고 알림이 떴습니다.

처음엔 에러가 하나만 떠서, "어휴 그래도 알약이 탐지해서 막았나 보네"라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1분 뒤 모든 실행파일에서 랜섬웨어 탐지 오류가 뜨더니 컴퓨터가 맛이 가기 시작했고 재부팅해도 먹통이 계속되는 증상이 발생했습니다.

 

처음엔, 정말 제 개인적인 불찰로 인해 랜섬웨어에 감염된 줄 알았습니다.

랜선을 분리하고 '시스템 복원' 및 다른 복구 방법들을 식은땀을 흘려가며 찾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도중 인터넷 뉴스에 알약이 새롭게 배포한 업데이트 파일에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게 제 컴퓨터에 발생한 문제의 원인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 후 안심하고 랜선을 다시 끼운 뒤 컴퓨터 부팅을 했지만, 윈도에 로그인해도 약 30초 뒤면 컴퓨터가 먹통이 되었습니다.

 

파일 백업도 안 돼있던 상태라, 날리면 몇 년 치의 작업이 날아가는 상황이라 머리가 새하얗게 변하던 그때 첫 번째 해결방법이 유튜브에 유저들을 통해 먼저 업로드되었습니다.

 

 

 

직접 적용한 대처방법 2가지

첫 번째 해결방법 

  1. 알약을 깔끔하게 삭제할 것
  2. 만약, 윈도로 정상 접속이 안되면 안전모드로 접속해서 삭제할 것.

첫 번째 해결방법은 바로 알약을 삭제하는 것이었습니다. 사람들마다 증상이 달랐지만, 저는 우선 윈도에 들어가면 튕겼기 때문에 정상적인 방법으로 알약이 삭제가 안되었습니다. 그리고, 만약 정상 접속해서 알약을 삭제할 수 없으면 안전모드에 들어가서 알약을 삭제하면 된다고 다들 간단하게 말하던데.. 이게 사실 말이 쉽지.. 알약이 일으킨 오류는 사람마다 달라서 증상이 천차만별이었습니다.

 

안전모드에 들어가도 저는 컴퓨터가 계속 먹통이 되는 증상은 여전했습니다. 그래도 어찌어찌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 -> 알약 제거'를 클릭했습니다.

여기서 두 번째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알약 삭제 불가.

 

다들 그냥 알약을 삭제하면 된다고만 설명했지만, 저는 알약이 삭제되는 도중에 멈춰서 삭제가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제가 진행했던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안전모드 들어가서도 알약이 삭제되지 않는 경우 일시적으로 삭제하는 법!! >

  • ' 내 PC -> 로컬 디스크(C:) -> Program files -> ESTsoft(폴더 통째로 삭제)'

이렇게 알약을 간신히 삭제하니 윈도우에 접속은 다시 정상적으로 되었습니다.

하지만,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였으니.. 바로 계속되는 원인을 알 수 없는 먹통 증상.

 

 

 

두 번째 해결방법 

  1. 중요한 자료 외장하드에 백업
  2. 포맷

첫 번째 해결방법에서도 가망이 없으면 그냥 바로 두 번째 방법으로 넘어오는 수밖에 없습니다.

안전모드에서 알약을 삭제해도 윈도우에서 알 수 없는 먹통 증상이 계속되면 윈도우를 다시 설치해야 합니다.

 

저는 알약 삭제 후 윈도우 실행 후 10분 정도는 먹통이 되지 않고 실행이 돼서 파일을 어느 정도 옮기고 포맷을 진행했습니다.

 

만약, 백업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황이고 손을 쓸 수 없는 상황이라면 컴퓨터 수리점에 가셔서 데이터 백업을 요청하신 후 포맷을 진행하셔야 합니다. 하드디스크에서 자료를 빼는 건 가능하니, 혼자서 포맷이 가능하신 분들은 데이터 백업만 기사님들 통해서 진행하시고 포맷하시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결론

  1. 알약 삭제 후 정상화 안되면 포맷해야 됨
  2. 포맷하기 전 중요한 자료가 있으면 데이터 백업을 진행해야 함
  3. 알약을 포함한 알툴즈는 앞으로 설치 안 할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