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관련 지식722 위험회피대상항목,위험회피수단 의미는? 당신이 꼭 알아야 할 핵심을 알려드립니다. ■ 위험회피대상항목(hedged item) 더보기 "① 공정가치나 현금흐름의 변동위험에 노 출되고 ② 위험회피대상으로 지정된 자산, 부채, 확정계약,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은 예상거 래 또는 해외영업순투자를 말한다. [참조조문]K-IFRS 1039호 78~84, AG98~AG101" ■ 위험회피수단(hedging instrument) 더보기 "공정가치나 현금흐름 변동이 위험회피대상 항목의 공정가치나 현금흐름 변동을 상쇄할 것으로 기대하여 지정한 파생상품이다. 다만, 회 피대상위험이 환율변동위험인 경우에는 비파생금융자산이나 비파생금융부채를 포함한다. 2023. 6. 14. 위탁판매,위험회피관계 뜻을 알고있나요?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을 알려드립니다. ■ 위탁판매(consignment sale) 더보기 "상품의 판매를 타인에게 위탁하는 판매형식을 말한다. 위탁된 상품은 적송품이라 하며, 그것이 판매되지 않는 한 수탁자가 점유하고 있어도 소유 권은 위탁자의 것이므로 위탁자는 매출수익을 인식하지 않는다. 위탁판매의 매출수익의 실 현시점은 수탁자가 위탁품을 타인에게 판매하는 때이다. 세법상도 마찬가지로 매출수익의 실현시점이 속하는 날이 사업연도의 익금으로 산입하도록 하고 있다. [참조조문]법령 68 ①, 소령 48, K-IFRS 1018호 적용사례2⑶" ■ 위험회피관계(hedging relationship) 더보기 "위험회피관계의 유형은 공정가치위험회피, 현금흐름위험회피 및 해외사업장순투자의 위험회피로 구분하는데, 높은 위험회피효과(80~ 125%)를 갖는.. 2023. 6. 14. 위조,위탁 과연 무엇일까요?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 위조(counterfeit) 더보기 "권한없는 자가 사용할 목적으로 현존하지 아니하는 문서, 통화, 유가 증권, 인장 등을 새로이 작성하거나 제조하는 것을 말하며 이로서 성립하는 범죄를 위조범 이라고 한다. 조세범처벌법은 납세증인, 납세증지 또는 법에 의한 입장권을 위조 또는 변조한 경우에는 처벌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위조는 현존하지 아니하는 것을 새로이 작성하거나 제조한다는 점에서 이미 존재하는 것을 가공하여 새로운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변화시키는 변조와 구별 된다. [참조조문]처법 12" ■ 위탁("consignment, custody") 더보기 "위탁의 일반적인 의미는 어떠한 일을 부탁하여 맡긴다는 뜻이며, 법률적 개념으로서는 사무의 처리를 타인에게 의뢰한다는 뜻이다. 조세범처벌절차법은 세무.. 2023. 6. 14. 위자료,위장거래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나요? 무엇인지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위자료(alimony) 더보기 "불법행위에 의해 발생하는 손해는 재산적인 손해와 정신적인 손해로 나눌 수 있는데, 정신적인 손해에 대한 배상을 위자료(慰藉料)라고 한다. 위자료는 주로 인격적 이익을 침해한 경우(생명침해나 명예훼손)에 문제가 되는데, 재산적 침해의 경우에도 문제가 된다. 민법 제752조가 “타인의 생명을 침해한 자는 피해자의 직계 존속·직계비속 및 배우자에 대하여 재산상의 손해가 없는 경우에도 손해배상책임이 있 다.”고 규정하고 있고, 판례(判例)는 이 규정을 예시적 규정(例示的 規定)으로 보고, 다만 동조에 규정되어 있는 자는 정신적 고통을 입증할 필요가 없이 동조에 의해 당연히 위자료 를 청구할 수 있는 데 대하여 그 이외의 자는 민법 제750조·제751조에 의해 손해의 발생을 입.. 2023. 6. 13. 이전 1 ··· 47 48 49 50 51 52 53 ··· 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