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관련 지식722 시장위험,시장이자율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나요? 무엇인지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시장위험(market risk) 더보기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시장가격의 변동에 의하여 변동할 위험이다. 시장위험은 환위험, 이자율위험 및 기타 가격위험의 세 가지 유형 의 위험으로 구성된다. [참조조문]K-IFRS 1107호 A" ■ 시장이자율(market rate of interest) 더보기 "금융시장에 있어서 성립되는 이자율, 즉 대 부자금의 수급에 의하여 결정되는 이자율을 의미한다. 실제로는 은행이 대부를 하는 경우의 대부이자율(貸付利子率)을 내용으로 하며, 화폐이자율(貨幣利子率)과 같은 의미이다. 이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자연이자율(自然利子率)이 있다." 2023. 6. 8. 시가표준액조정월수,시용판매 잘못 알고 있었을지도 몰라요! 놀라운 사실들을 알아보세요 ■ 시가표준액조정월수(number of adjustable months on statutory standard price of fair market value) 더보기 시가표준액이 조정되는 기간의 월수를 말한다. 토지·건물의 시가표준액은 일반적으로 1년에 한번씩 조정된다. 그러나 이미 결정 한 시가표준액이 기준가격의 변동 또는 기타 사유로 불합리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시가 표준액을 변경하여 결정할 수 있는데 이때 그 조정월수가 1년 미만일 수도 있다. [참조조문]지법 4 ②·10 ■ 시용판매(approval sales) 더보기 "상품을 고객에게 발송하여 고객이 시험적으로 사용해 본 후 구입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판매를 말한다. 일반매출과 다른 점은 상품의 발 송이 먼저 이루어지고 후에 매매계약.. 2023. 6. 8. 시가법,시가표준액 무엇인지 알고 싶다면? 이 글을 읽어보세요! ■ 시가법(market price basis) 더보기 자산평가방법 중의 하나로 당해 사업연도종료일 현재의 시가에 의해 자산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즉 시가법은 취득 후 자산의 시가변동을 반영하는 자산평가방법으로 시가변동을 고려하지 않고 취득원가로 평가하는 원가법과 구별된다. ■ 시가표준액(statutory standard price of fair market value) 더보기 "토지 및 주택에 대한 시가표준액은 부동산가격공시및감정평가에관한법률에 따라 공시된 가액으로 하며, 개별공 시지가 또는 개별주택가격이 공시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같은법 에 따라 국토해양부장관이 제공한 토지가격비준표 또는 주택가격비준표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액으로 하고, 공동주택가격이 공시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대통.. 2023. 6. 8. 순자산,순자산증가설 과연 무엇일까요?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 순자산(net asset) 더보기 "일반적으로 재무상태표상의 자산(資産)의 합계액에서 부채(負債)의 합계액을 공제한 잔액을 말하며 순재산(純財産)으로도 쓰인다. 법인세법상 과세소득 계산에 있어서 순자산을 증가시키는 거래로 인하여 발생하는 수익의 금액을 익금(益金)이라 하고, 순자산을 감소시키는 거래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비(損費)의 금액을 손금(損金)이라 한다. [참조조문]법법 15·19" ■ 순자산증가설(increased net asset theory) 더보기 "소득이란 일정기간 내의 재산증가의 총액에서 그 기간 내에 발생된 재산감소의 총액을 차감한 잔액이라고 하는 입장의 학설을 순자산증가설 또는 순재산증가설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현행 법인세법은 순자산증가설의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 법인세법 제14조.. 2023. 6. 8. 이전 1 ··· 69 70 71 72 73 74 75 ··· 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