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관련 지식722 실비변상적 성질의 급여,실사법 과연 무엇일까요?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 실비변상적 성질의 급여(cost-compensatory pay) 더보기 "근로소득자가 업무수행을 위하여 실제로 소요되는 경비상당액(經費相當額)으로 지급받는 부분을 실비변 상적 성질의 급여라 한다. 이러한 실제소요경비상당액은 일반적으로 근로자 자신의 가처 분소득으로 볼 수 없으므로 소득세법상 비과세소득으로 취급되는데, 비과세대상인 실비변 상적 성질의 급여의 종류 및 범위는 소득세법에 특정되어 열거되고 있다. [참조조문]소법 12 3호 자목, 소령 12" ■ 실사법(physical inventory method) 더보기 재무상태표상의 항목·범위·금액 등을 결정함에 있어서 원칙적으로 실지재고조사(實地在庫調査)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재무상태표를 작성하 는 방법을 말한다. 또한 협의로는 재고자산의 수량을 결정.. 2023. 6. 9. 신탁의 이익,실명거래 의미는? 당신이 꼭 알아야 할 핵심을 알려드립니다. ■ 신탁의 이익(profit from trust) 더보기 "신탁재산으로부터 생긴 이익을 신탁의 이익이라 고 한다. 신탁재산의 명의인은 수탁자이지만 신탁재산으로부터 생긴 이익은 수탁자가 아니 라 수익자에게 귀속된다. 소득세법은 신탁재산에 귀속되는 수익 및 지출에 대하여는 수익자(수익자가 특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위탁자)가 신탁재산을 갖는 것으로 보아 과세하고 있다. 그러나 공익신탁의 이익에 대하여는 비과세한다. 또한 상속세및증여세법은 신탁의 이익 전부 또는 일부를 받을 권리를 타인에게 소유하게 한 경우에 증여세 또는 상속세과세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신탁의 이익을 받을 권리의 평가에 대하여도 별도의 규정을 두고 있다. [참조조문]소법 12·16, 상증법 9·33, 상증령 25·6.. 2023. 6. 9. 신주인수권부사채,신탁 과연 무엇일까요?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 신주인수권부사채(bond with stock warrants) 더보기 "사채를 유리한 조건으로 발 행하기 위하여 또는 사채발행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사채발행시에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를 첨가한 사채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신주인수권부사채가 일반사채보다 유리한 조건 으로 발행되고 있고, 유리하게 발행된 만큼은 신주인수권의 대가(代價)를 받은 것과 같으 며, 그 신주인수권대가는 추후 신주인수권의 행사시 발행하게 될 주식의 납입대금을 선납 (先納)받은 것과 같은 성질의 것이라는 점 등은 전환사채의 경우와 같다. [참조조문]상법 516의 2~516의 10" ■ 신탁(entrusting) 더보기 "광의의 신탁적 행위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으나, 보통 신탁법상(信託法 上)의 신탁, 즉 신탁설정자(委託者)와 .. 2023. 6. 8. 신주발행비,신주인수권 뜻을 알고있나요?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을 알려드립니다. ■ 신주발행비(new stock issue costs) 더보기 "주식회사가 증자(增資)를 하는 경우에 소요되 는 신주발행수수료 및 신주발행을 위하여 직접 부담한 기타의 비용을 말한다. 이에는 주식 공모를 위한 광고비, 주권(株券)의 인쇄비, 금융기관의 수수료, 변경등록면허세 등이 있다. 기업회계기준과 법인세법에서는 주금의 납입가액에서 신주발행비를 차감하여 주식의 발행가 액을 구하는 자본에서 차감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참조조문]법령 20 ③" ■ 신주인수권(stock warrants) 더보기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에 우선적으로 주식을 인수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상법 제418조 제1항 및 제2항에 의하면 주주는 정관에 다른 정함 이 없으면 그가 가진 주식의 수에 따라서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가 .. 2023. 6. 8. 이전 1 ··· 66 67 68 69 70 71 72 ··· 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