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관련 지식722 보험증권,보험차익 무엇인지 알고 싶다면? 이 글을 읽어보세요! ■ 보험증권(insurance policy) 더보기 "보험계약의 성립을 증명하는 문서로서 보험계약자의 청 구에 의하여 보험자인 보험회사가 발행하는 증권이다. 보험증권의 발행은 보험계약당사자 쌍방의 편의를 위한 것이지 계약의 성립요건도 아니고, 보험자만이 기명·날인하는 것이므 로 계약서도 아니다. 그러나 보험증권은 보험계약에 관한 중요한 증거방법(證據方法)의 하나 로서 계약내용에 관하여 사실상의 추정(推定)을 받는다. 따라서 진정한 보험계약이 보험증 권과 틀리는 경우에 보험계약자가 보험증권의 내용을 주장하거나 보험계약의 내용을 주장 한 때에는 보험자가 반증(反證)을 들어야 한다." ■ 보험차익(gain on insurance settlement) 더보기 "보험에 가입한 고정자산에 보험사고가 발 생하여 손실.. 2023. 6. 1. 보험수리적 가정,보험수리적 손익 의미는? 당신이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을 알려드립니다. ■ 보험수리적 가정(actuarial assumptions) 더보기 확정급여의 궁극적인 원가를 결정 하는 여러 가지 변수들에 대한 가정이다. 이러한 가정은 최선의 추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써 인구통계적 가정과 재무적 가정으로 구성된다. [참조조문]K-IFRS 1019호 75~98 ■ 보험수리적 손익(actuarial gains and losses) 더보기 보험수리적 가정과 실제로 발 생한 결과의 차이에서 생기는 손익과 보험수리적 가정의 변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익으로 구성된다. [참조조문]K-IFRS 1019호 8 2023. 6. 1. 보통징수,보험료공제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나요? 무엇인지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보통징수(common levy) 더보기 "지방세(地方稅)의 징수방법은 보통징수와 특별징수방법으 로 구분되는데, 보통징수라 함은 세무공무원이 납세고지서를 해당 납세자에게 발급하여 지 방세를 징수하는 것을 말한다. 보통징수에 의해 과세되는 지방세는 취득세와 등록면허세의 미신고 및 과소신고분에 대한 추징분·주민세균등할·재산세·자동차세·지역자원시설세 등이 있다. 반면 특별징수(特別徵收)라 함은 보통징수방법 이외의 방법에 의하여 지방세를 징수하는 것으로서 지방세징수에 있어서 그 징수의 편의가 있는 자로 하여금 징수시키고 그 징수한 세금을 납입하게 하는 것을 말하는데 국세의 원천징수와 같은 방법이다. [참조조문]지기법 2 ① 19호" ■ 보험료공제(insurance expense deduction) 더보기 "보.. 2023. 6. 1. 보정요구,보조원장 뜻과 정의, 당신이 알아야 할 진짜 의미를 알려드립니다. ■ 보정요구(request for supplementation) 더보기 "세법에 의한 처분(處分)으로서 위법 또는 부 당한 처분을 받거나 필요한 처분을 받지 못함으로써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당한 자가 이 의신청·심사청구 및 심판청구를 한 경우 그 내용이나 절차가 국세기본법 또는 세법에 적 합하지 아니하나 보정(補正)할 수 있다고 인정되면 20일 이내의 기간(심판청구의 경우 상 당한 기간)을 정하여 청구인에게 이를 보정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다만, 보정할 사항이 경미한 경우에는 직권으로 보정할 수 있다. 보정요구를 받은 청구인은 서면으로 보정하는 것이 원칙이나, 담당관서에 출두하여 보정할 사항을 구두로 진술하고 그 내용을 담당공무원이 기록한 서면에 날인함으로써 보정할 수도 있다. 보정기간은 이의신청.. 2023. 5. 31. 이전 1 ··· 93 94 95 96 97 98 99 ··· 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