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무관련 지식722

배당소득지급시기의 의제,배분계산서 과연 무엇일까요?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 배당소득지급시기의 의제(deemed payment time of dividend income) 더보기 "배당소득에 대한 원천징수의무는 원천징수의무자가 원천징수대상배당소득금액을 지 급할 때 발생되는 것이 원칙이나, 예외적으로 현실적인 지급이 없는 때에도 일정한 경우 에는 동 배당소득을 지급한 것으로 보아 원천징수하도록 하는 경우를 배당소득지급시기의 의제라 하며 배당소득의 수입할 시기 또는 귀속시기와는 다르다. 현행 소득세법상 법인이 이익 또는 잉여금의 처분에 의한 배당소득을 그 처분을 결정한 날부터 3개월이 되는 날까지 지급하지 아니한 때에는 그 3개월이 되는 날에 배당소득을 지급한 것으로 본다. 의제배당 의 경우에는 그 수입시기를, 법인세법에 의하여 처분된 배당의 경우에는 소득금액변동통 지서를 받거나.. 2023. 5. 29.
배당세액공제,배당소득 과연 무엇일까요?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 배당세액공제(tax credit for dividend) 더보기 거주자가 내국법인으로부터 받는 배당금 에 대하여는 그 배당금에 대한 귀속법인세를 가산하여 배당소득금액을 산정함과 동시에 그 가산한 귀속법인세를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세액공제하여 납부세액을 산정하는데 이러한 세액공제를 배당세액공제라고 한다. 배당세액공제제도는 법인에 의하여 생성된 소득이 법 인단계와 주주단계에서 이중적으로 과세되는 경제적 비효율을 제거하기 위하여 마련된 제 도이다. [참조조문]소법 56 ■ 배당소득(dividend income) 더보기 당해 연도에 발생한 다음 소득을 말한다. ① 내국법인으로부터 받는 이익이나 잉여금의 배당 또는 분배금② 법인으로 보는 단체로부 터 받는 배당금 또는 분배금③ 의제배당 ④ 법인세법에 의하여 배당.. 2023. 5. 29.
배당금수익,배당락 과연 무엇일까요?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 배당금수익(dividend revenue) 더보기 "소유주식, 출자금 등의 단기투자자산 및 장기투자 자산에 관하여 이익이나 잉여금의 분배로 받는 배당금을 배당금수익이라고 한다. 따라서 배당금수익은 은행, 기타의 금융업과 같이 그것을 영업상의 수익으로 계상하는 경우를 제외 하고는 일반적으로 손익계산서상(損益計算書上) 영업외수익의 항목에 속한다. 배당(配當)의 형태에는 현금배당(現金配當) 이외에도 재산배당(財産配當), 증서배당(證書配當), 청산배당 (淸算配當) 등이 있다. 이들 각 형태별 배당은 기업회계에서는 배당금수익계정에 통합하여 규정하고 있다. 세법상으로는 현금배당 이외에도 주식배당, 잉여금의 자본전입(資本轉入) 등과 같이 경제적 이익이 주주에게 귀속되는 경우에도 이를 배당금으로 보아 법인세 또는 .. 2023. 5. 29.
배당가산액,배당금 또는 분배금의 의제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나요? 무엇인지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배당가산액(gross-up method) 더보기 "법인원천소득에 대한 이중과세조정방법의 일종으로 imputation이라고도 한다. 그로스업방법은 법인이 배당금을 지급한 경우에는 지 급배당액에 일정한 율을 곱해 계산되는 귀속법인세액(歸屬法人稅額)을 배당소득에 가산하 여 배당소득금액을 산정하는 한편, 동 소득에 대한 소득세액을 계산하여 가산된 귀속법 인세상당액을 산출세액에서 공제하는 방법으로 배당소득을 일정한 율로 증액(그로스업)시 킨다는 특징이 있다. [참조조문]소법 17 ③·56" ■ 배당금 또는 분배금의 의제(deemed dividend) 더보기 "상법상으로는 법인 의 이익배당은 아니지만 자본거래에서 발생하는 소득으로서 실질적으로 배당한 것과 같은 경제적 이익을 주는 경우가 있는데, 현행 세법에서는.. 2023.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