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무관련 지식722

양도소득과세표준예정신고,양도소득금액 과연 무엇일까요?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 양도소득과세표준예정신고(preliminary return on transfer gain of property) 더보기 양도소득세가 과세되는 자산을 양도한 거주자는 자산을 양도할 때마다 양도차 익을 계산하여 양도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주식 등의 경우에는 양도일이 속하는 분기의 말일)부터 2개월 이내에 양도자의 주소지관할세무서에 신고하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양도 차익이 없거나 양도차손이 발생한 경우에도 적용한다. [참조조문]소법 105~107 ■ 양도소득금액(transfer income) 더보기 "자산의 양도가액에서 필요경비(취득가액 등)와 장기보유특별공제액을 차감한 금액이며, 연도별로 종합하여 과세하는 것이므로 각 과세기 간에 발생한 양도소득을 통산한다. 즉 동일한 과세기간에 수회의 양도가 있을 때.. 2023. 6. 10.
양도비용 무엇인지 알고 싶다면? 이 글을 읽어보세요! ■ 양도비용(transfer expense) 더보기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 양도차익을 계산함에 있어서 필요경비로 공제하는 비용으로 양도소득세과세대상자산을 양도하기 위하여 직접 지출한 비용과 증권거래세법에 의한 증권거래세를 말한다. 양도하기 위하여 직접 지출한 비용 은 계약서작성비용, 공증비용, 인지세, 부동산등기·등록비용을 양도자가 부담할 경우 그 등기 또는 등록비용, 부동산중개수수료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양도비용은 부동산매매업 자의 매매차익계산에도 필요경비로 공제한다. 한편, 기준시가에 의하여 양도차익을 계산하 는 경우에는 취득가액의 일정비율을 필요경비로 공제한다. [참조조문]소법 97, 소령 163" 2023. 6. 10.
양도가액,양도담보 의미는? 당신이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을 알려드립니다. ■ 양도가액(transfer price) 더보기 "해당 자산의 양도당시의 양도자와 양수자간에 실제로 거 래한 가액을 말한다. 소득세법에서는 토지 또는 건물 등을 양도하는 경우 양도당시의 실지 거래가액을 양도가액으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거주자가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 는 경우에는 그 시가를 해당 자산의 양도당시의 실지거래가액으로 본다. 1. 법인세법 제52조에 따른 특수관계에 있는 법인(외국법인을 포함하며, 이하 “특수관계 인”이라 함)에 양도한 경우로서 같은법 제67조에 따라 해당 거주자의 상여·배당 등으로 처분된 금액이 있는 경우에는 같은법 제52조에 따른 시가2. 특수관계인 외의 자에게 자산을 시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양도한 경우로서 상속세및증여세법 제35조에 따라 해당 거주자의 증여재산가.. 2023. 6. 10.
약정이자,양도 의미는? 당신이 꼭 알아야 할 핵심을 알려드립니다. ■ 약정이자(agreed interest) 더보기 "금융기관 또는 개인 등으로부터 차입한 금전에 대하여 이자를 지급하기로 계약한 경우에 그 이자를 말한다. 민법에는 약정이자가 법정이자를 초과 할 때에는 그 약정이자에 의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별도의 의사표시가 없는 경우의 이자 율은 민사(民事)에서는 연 5%가 되고 상사(商事)에서는 연 6%의 법정이율이 규정되어 있 다. [참조조문]민법 379, 상법 54" ■ 양도(transfer) 더보기 "법률상 양도라 함은 물권(物權)의 주체가 법률행위에 의하여 그 물건을 타인에게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 부동산(不動産)의 양도와 취득은 등기(登記)를 하여야 물권 변동의 효력이 발생하며, 동산(動産)의 경우에는 점유(占有)를 이전하여야 효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세.. 2023. 6. 9.